SHINHAN BANK

Client

Shinhan Bank 신한은행

Role

Research & Concept Planning Space Strategy Space Experience Development Customer Touchpoint Design

Date

2020

Ko

Eng

Next Bank, New Standard

우리는 과거처럼 은행에 가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나 송금과 결제를 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거나 금융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프라인 은행의 내방객이 줄어드니 은행도 점포 수를 줄이게 되고, 많은 서비스가 무인화/비대면 채널로 전환되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변화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하지만, 비대면은 모든 것의 만능열쇠는 아닐겁니다. 여전히 우리는 은행을 필요로 합니다.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기도 하고, 따뜻한 문제해결을 기대하기도 하죠. 우리의 은행 업무라는 것이 항상 그렇게 간단하기만 한 것은 아니기 때문인데요. 많은 고객들이 조금 더 쉽고 편리한 은행을 기대하고 있지만, 기존의 오프라인 은행은 여전히 크고 작은 불편함이 느껴지는 공간이었습니다. 우리는 신한은행과 함께 단발적으로 시도하는 공간이 아닌 미래를 위한 은행의 표준화 모델을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변화된 소비자의 특성과 잠재니즈를 바탕으로 은행이라는 필수적 기능 공간을 보다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말이죠.

SHINHAN BANK

Client

Shinhan Bank 신한은행

Role

Research & Concept Planning Space Strategy Space Experience Development Customer Touchpoint Design

Date

2020

Ko

Eng

Next Bank, New Standard

우리는 과거처럼 은행에 가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나 송금과 결제를 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거나 금융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프라인 은행의 내방객이 줄어드니 은행도 점포 수를 줄이게 되고, 많은 서비스가 무인화/비대면 채널로 전환되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변화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하지만, 비대면은 모든 것의 만능열쇠는 아닐겁니다. 여전히 우리는 은행을 필요로 합니다.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기도 하고, 따뜻한 문제해결을 기대하기도 하죠. 우리의 은행 업무라는 것이 항상 그렇게 간단하기만 한 것은 아니기 때문인데요. 많은 고객들이 조금 더 쉽고 편리한 은행을 기대하고 있지만, 기존의 오프라인 은행은 여전히 크고 작은 불편함이 느껴지는 공간이었습니다. 우리는 신한은행과 함께 단발적으로 시도하는 공간이 아닌 미래를 위한 은행의 표준화 모델을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변화된 소비자의 특성과 잠재니즈를 바탕으로 은행이라는 필수적 기능 공간을 보다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말이죠.

SHINHAN BANK

Client

Shinhan Bank 신한은행

Role

Research & Concept Planning Space Strategy Space Experience Development Customer Touchpoint Design

Date

2020

Ko

Eng

Next Bank, New Standard

우리는 과거처럼 은행에 가지 않고도 언제 어디서나 송금과 결제를 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거나 금융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프라인 은행의 내방객이 줄어드니 은행도 점포 수를 줄이게 되고, 많은 서비스가 무인화/비대면 채널로 전환되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변화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하지만, 비대면은 모든 것의 만능열쇠는 아닐겁니다. 여전히 우리는 은행을 필요로 합니다. 전문가의 조언이 필요하기도 하고, 따뜻한 문제해결을 기대하기도 하죠. 우리의 은행 업무라는 것이 항상 그렇게 간단하기만 한 것은 아니기 때문인데요. 많은 고객들이 조금 더 쉽고 편리한 은행을 기대하고 있지만, 기존의 오프라인 은행은 여전히 크고 작은 불편함이 느껴지는 공간이었습니다. 우리는 신한은행과 함께 단발적으로 시도하는 공간이 아닌 미래를 위한 은행의 표준화 모델을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변화된 소비자의 특성과 잠재니즈를 바탕으로 은행이라는 필수적 기능 공간을 보다 효율적이고 스마트한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말이죠.

은행을 이용하는
공간주체의 관점 변화

고객이 은행 공간에서 느끼는 불편함과 문제점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왜 은행은 고객의 니즈에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는 걸까요?

우리는 은행이라는 공간이 고객의 서비스 수혜 공간이기도 하지만, 직원의 업무공간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레이어가 교차하는 양면적 성격의 공간인 것에 집중했습니다.

실제로 은행 직원의 입장에서 고객 대면 업무의 비중은 50%가 넘지 않았습니다. 나머지의 시간은 내부적인 업무를 처리하는 데에 할애되고 있죠.

결국 은행이라는 공간은 방문객을 맞이하는 곳이기도 하지만, 직원의 사무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것입니다.

Designing
Life Financing Platform

새로운 신한은행은 두 레이어의 교차점인 창구 공간을 경계로 직원공간과 고객공간의 디자인 원칙을 분리하고, 각각의 공간에 최적화된 디자인을 구상했습니다. 직원의 사무공간으로서 가장 효율적이고 쾌적한 공간, 고객의 대기공간으로서 가장 편안하고 만족스러운 공간을 설계했으며, 이 두개의 공간이 서로 침해하거나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완충지대이자 수렴점 역할로서 창구 공간을 설계했습니다.

오프라인 은행의 서비스 품질은 직원의 업무 효율과 만족도에서 영향을 받습니다. 새로운 신한은행의 표준화 디자인은 총 4개의 특화 점포 디자인으로 세분화되어 적용되고 있으며, 직원과 고객의 높은 경험 만족도를 통해 지속적으로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New Bank Desk

신한은행의 매장 내 인테리어는 작업 특성과 고객 이용 환경을 강조하며, 사용자와 목표를 근접시키는 데 초점을 맞춰 최적화된 설계를 구현했습니다. 전체 공간의 크기, 레이아웃, 서비스 카운터의 갯수 등 가게의 상황을 고려하여, 조정 가능한 부분의 크기를 세밀히 조절하여 모듈식 디자인을 통해 실현하였습니다.

개인 맞춤형
공간으로의 진화

Type K는 주택가, 전통 상권 등 고자산/VIP 고객이 많은 지점의 디자인입니다.

개인 맞춤형 금융 상담과 전문적인 정보, 프리미엄한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됩니다.

Project owner.

Shinhan Bank 신한은행

Project owner.

Shinhan Bank 신한은행

Project owner.

Shinhan Bank 신한은행

Executive director

Executive director

이창호

이창호

이창호

Creative Director

Creative Director

배지훈

배지훈

Concept & Design

Concept & Design

김지현, 임슬비

김지현, 임슬비

김지현, 임슬비

Space Design Partner

Space Design Partner

커스텀스페이스

커스텀스페이스

커스텀스페이스

Insight

Contact

+82 2 508 7871 (REP)

info@sampartners.co.kr

+82 2 508 7871 (REP)

info@sampartners.co.kr

+82 2 508 7871 (REP)

info@sampartners.co.kr